어른으로산다는것

2013.11.26 00:28

독서남 조회 수:817

         어른으로 산다는 것

 

  지난 3, 기숙사에 입사한 후 룸메이트가 정말 재미있게 읽었다면서 나에게도 많은 도움이 될 거라면서 빌려준 책. 그 책이 바로 어른으로 산다는 것이었다. 개강하고 바쁘다는 핑계로 미루다가 한참이 지나서야 읽어보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처음 친구에게 그 책을 받아들었을 때는 책 제목도 그렇고 표지도 너무 심심해서 재미없을 것 같았다. 하지만 추천해준 친구를 생각해 참고 읽어 내려간 책 속엔 내가 그동안 고민해왔던 왜 나만 그럴까?” 하는 물음에 대한 대답이 들어있었다. 그 중 누구나 마음속엔 상처받은 아이가 있다는 말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여자 친구가 심리학을 전공했기 때문에 옆에서 몇 번 들었던 내용들인데, 막상 그 내용을 책을 통해 다시 한 번 되새기게 되니 새롭기도 하, 이해가 되기도 하였다. 또한 최근 정신없고 지쳐있는 나에게 많은 생각을 하고 느끼게 해준 책이다. 평소 책을 천천히 읽는 편인데, 이 책은 정말 천천히 읽어 내려갔다.

  사람들은 상처를 받는다. 그들이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사람들에 의해서. 하지만 생각해보면 사람들이 상처를 받고 괴로워하는 이유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기준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사람들의 생각은 똑같을 수 없고 그렇기 때문에 세상은 내가 원하는 데로 돌아가지 않는다. 하지만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의 생각이 자신의 생각과 같기를 원하고 세상이 자신의 뜻대로 돌아가기를 바란다. 이것은 잘못된 신념이다. 이러한 신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상처를 받는 것이다. 상처를 받지 않기 위해서는 자신의 자유를 인정하는 것처럼 다른 사람에게도 그들의 자유를 인정해 주고 그들과 나의 다름을 인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람을 상대하는 일에서는 다른 신념으로 인한 갈등은 당연히 일어날 수 있다. 하지만 이때 중요한 것은 그 일을 어떻게 해결해 나가냐는 것이다. 다름을 인정하고 적절한 해결책을 찾느냐 아니면 서로 다른 신념만을 내세우며 싸우느냐. 당연히 전자가 되어야 할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이 책을 읽으면서 나의 진로와 연결하여 생각해보니 이런 생각이 들었다. 생각의 전환, 즉 소방관이라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남을 돕는 일이라고만 생각한다. 하지만 직접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그들이 하는 일은 남들을 돕는 일이지만 그들이 도움을 준다고 생각했던 이들에게서 오히려 도움 혹은 배움을 받아서 돌아온다는 이들이 많다. 내가 도움을 주러간다고 생각하면 뿌듯하고 보람차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어느 순간 지쳐갈 것이다. 하지만 그때 그들에게 내가 일방적인 도움을 주는 것이 아닌 내 도움으로 인해 그들이 좀 나은 삶을 살아가게 되고 나또한 그들에게서 많은 도움을 받고 있다고 생각하면 좀 더 편안한 마음으로 일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에는 참 많은 내용들이 있는데, 작가가 그 많은 이야기를 통해 하고 싶었던 말은 결국 그동안 나도 모르게 쌓아왔던 내 자신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은 내 자신이 만드는 것이고 그것을 떨쳐낼 수 있는 힘도 온전히 내 자신에게 있다는 것인 것 같다. 언젠가 방송인 김제동의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느꼈던 것들을 그의 이야기를 들으면서도 똑같이 느꼈다. 즐기면서 살기에도 짧은 단 한번뿐인 내 인생을 남의 시선을 걱정하고 내 자신을 옭아매며 살아가기엔 너무 아깝다는 생각을 했다. 특히 정말 많은 경험을 하고 상처도 받아보고 성공도 해보아야 할 이 20대의 시기에는 더더욱. 상처가 없으면 성장도 없다. 상처도 받아보고 실패도 해봐야 성장하게 되고 성공경험보다는 실패경험에서 더 많은 것을 배우게 되는 것처럼 실패를 한다고해서 상처를 받았다 고해서 두려워만 할 일은 아닌 것 같다. 이 책과 그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나를 보듬어주고 있는 것 같았고 내가 치유되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 앞으로는 좀 더 내 자신을 믿고 자신감 있는 모습으로 어른이되고 싶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 작성시 파일첨부하지 마세요 웹마스터 2014.04.14 1510
공지 독서하기 소개 관리자 2013.10.07 2320
268 '서른살엔 미처 몰랐던 것들' [1] 범지현 2013.12.06 10231
267 창가의 토토 한소이 2014.04.29 5534
266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공을 읽고 [1] 박가영 2014.05.02 3206
265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를 읽고 임선경 2013.12.05 2817
264 신경숙 작가의 '엄마를 부탁해'를 읽고 [1] 김지현 2014.04.10 2759
263 연금술사 - 파울로 코엘료 우헤원 2013.11.22 2503
262 어른이 되서 읽는 어린왕자 최미연 2013.11.27 2371
261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을 읽고.. 송다은 2013.12.04 2209
260 엄마를 부탁해를 읽고 이가선 2013.11.21 2166
259 '연을 쫓는 아이'를 읽고 이홍주 2013.12.05 2145
258 '우아한 거짓말'을 읽고 [1] 김지현 2014.06.13 2020
257 <여덟단어> 박웅현 조우리 2013.12.02 1911
256 '꿈꾸는 다락방'을 읽고 [1] 홍진경 2014.05.01 1747
255 그러니까 당신도 살아 박희원 2013.12.05 1734
254 바보빅터를 읽고 [1] 강소영 2014.04.13 1709
253 관계의 힘 고봉진 2013.11.30 1649
252 노인과 바다를 읽고 [1] 국예지 2014.04.30 1618
251 시간을 파는 상점을 읽고 [1] 하은경 2014.04.13 1602
250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를 읽고 [1] 박수지 2014.04.30 1579
249 랜디 포시의 '마지막 강의' 박민정 2013.11.29 1494
248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1] 최누리 2014.09.29 1488
247 '냉정과 열정사이 ROSSO & BLUE'를 읽고 일지매 2013.12.05 1473
246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 을 읽고 [1] 홍진경 2014.04.14 1459
245 그리움은 그리움으로 -피천득의 [인연]을 읽고 [1] 장동엽 2014.04.11 1401
244 "아프니까 청춘이다"를 읽고 [1] 장여옥 2014.05.15 1398
243 '마시멜로 이야기'를 읽고 [1] 신혜진 2014.05.11 1361
242 정주영 회장 자서전 ‘이 땅에 태어나서’를 읽고... 이유정 2013.11.29 1335
241 엄마를 부탁해 강재민 2013.12.07 1335
240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를 읽고 file 김진선 2013.12.02 1311
239 리버보이를 읽고 [1] 한빈 2014.04.12 1310
238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1 <남도답사 일번지> 정현진 2013.11.22 1297
237 꾸뻬씨의 행복여행을 읽고 [1] 임현아 2014.11.11 1289
236 ㅡ창의융합 콘서트 정형민 2013.12.01 1278
235 - '눈먼자들의 도시' 를 읽고 - [2] 김규림 2014.04.27 1266
234 관계 속에서의 사랑 (에리히 프롬의 '사랑의 기술'을 읽고) 박선주 2013.11.27 1262
233 아낌없이주는나무 og 2014.04.30 1251
232 아빠,나를죽이지마세요 [2] 양지연 2014.04.30 1228
231 시련은 있어도 실패는 없다 - 확고한 신념과 불굴의 노력의 성장 file 강가연 2013.11.29 1212
230 내가 알고 있는걸 당신도 알게 된다면을 읽고 file 김은비 2013.12.06 1209
229 '청진기가 사라진다'를 읽고 일지매 2013.12.05 1207
228 30년만의 휴식 임선경 2013.12.02 1189
227 나는 죽을 때까지 재밌게 살고 싶다 소남희 2013.12.04 1189
226 1cm+를 읽고 file 드림투게더 2013.12.03 1122
225 커피우유와 소보로빵을 읽고 [2] 배지원 2014.04.11 1108
224 다시 한번 펼쳐보게 된 '아홉살 인생' 최진희 2013.11.26 1098
223 '버킷리스트'를 읽고.. [1] 지혜.백 2014.05.07 1087
222 공중그네를 읽고 [1] 정현웅 2014.05.16 1087
221 천번을 흔들려야 어른이 된다 [1] 이유진 2014.05.01 1079
220 [여자라면 힐러리처럼] 독후감 file 오수진 2013.12.05 1065
219 양자의학, 새로운 의학의 탄생 - 강길전 윤성옥 2013.11.30 1058
218 시골의사의 아름다운 동행을 읽고 [2] 신해미 2014.04.28 1058
217 '창가의 토토'를 읽고 [1] 이하정 2014.04.30 1055
216 간송 전형필을 읽고.. 박기수 2013.12.07 1052
215 거짓말 하는 착한사람들 박희원 2013.12.02 1042
214 '생각의 지도'를 읽고 주유정 2013.12.04 1040
213 꾸뻬씨의 행복여행 임용제 2013.11.20 1031
212 가시고백-김려령 문호석 2013.11.25 1011
211 스무살에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을 읽고 [1] file 서명호 2014.04.10 1003
210 더나은 자본주의-"그들이 말하지 않은 23가지"를 읽고 [1] 양운호 2014.04.13 988
209 남녀관계를 통해 다름을 배우다. 송동휘 2013.12.06 974
208 30년만의 휴식을 읽고 file 김솔 2013.11.20 951
207 이병률의 '바람이 분다, 당신이 좋다' 를 읽고 서경진 2013.11.25 950
206 '블랙차이나'를 읽고 일지매 2013.12.05 948
205 사람은 무엇으로 성장하는가? file 한송희 2013.12.02 944
204 내심장을 쏴라를 읽고 [1] 임선경 2014.04.30 940
203 제니가 읽은 '이슬람' 이라는 책 이야기 제니민지 2013.12.05 933
202 '양파의 왕따일기'를 읽고 [1] 최가희 2014.04.30 932
201 빅픽쳐를 읽고 [1] 이나콩 2014.04.28 904
200 즐거운 나의집(공지영)을 읽고 [1] 한아름 2014.04.30 903
199 스무살의 폴더 file 송채헌 2013.12.06 893
198 '철학콘서트'를 읽고 [2] 주유정 2014.04.09 892
197 독서천재가된홍대리를 읽고 김승주 2014.04.30 892
196 너는 눈부시지만 나는 눈물 겹다를 읽고 file 김은비 2013.12.06 891
195 시련은 있어도 실패는 없다- 정주영 윤성옥 2013.11.30 887
194 막스 뮐러의 '독일인의 사랑'을 느끼고.. [2] 최진희 2014.04.09 887
193 지선아 사랑해를 읽고 [1] 최현지 2014.04.12 887
192 괴짜 심리학 문호석 2013.12.02 884
191 창문을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을 읽고 김서지 2014.09.29 881
190 레이먼드 조의 "관계의 힘" 을 읽고 [1] 감사합니다 2014.05.16 879
189 마시멜로이야기2-호아킴 데 포사다 황재흠 2013.11.25 869
188 찰스램과 찰스디킨스. 누구와 같은 삶을 살 것인가?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안주영 2013.11.26 864
187 잊고있던 소중함을 깨우치는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 ' [1] 오주연 2014.04.15 856
186 '도가니'를 읽고 [1] 이하정 2014.04.15 850
185 아프니까 청춘을 읽고 [1] 이유진 2014.04.28 849
184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책을 읽고 싼채스 2013.12.06 846
183 탈무드 서태지 2013.11.30 839
182 김형경작가의 '좋은이별'을 읽고 file 일지매 2013.11.24 837
181 여자친구에게 왜 자꾸 화를 낼까? - [천개의 공감]을 읽고 [1] 장동엽 2014.04.11 833
180 '무엇을 위해 살것인가'를 읽고 일지매 2013.12.05 832
179 <눈치 보는 나 착각하는 너> 박진영 조우리 2013.12.02 819
» 어른으로산다는것 독서남 2013.11.26 817
177 '말더듬이선생님'을 읽고 [1] 김혜민 2014.04.10 810
176 '쥐를 잡자' 라는 책을 읽은 예비 청소년상담사 file 박유진 2013.11.23 807
175 <제인오스틴의 연애론>을 읽고 .. [1] 전지은 2014.11.05 805
174 희망가게-신소영 문호석 2013.11.19 800
173 살면서 포기해야 할 것은 없다. 조예은 2013.11.19 786
172 알렉스 파타코스 "의미있게 산다는 것" 中 호구경보 2013.12.08 765
171 번데기 프로젝트 조예은 2013.11.25 749

(520-714) 전남 나주시 건재로 185번지 동신대학교 Tel. 061-330-3015~8 Fax 061-330-3019

Copyright (c)2013 동신대학교 홍보협력팀. ALL Rights Reserved. All Right Reserved.

ds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