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학교는 불행한가'를 읽고...

2014.10.01 01:08

오수진 조회 수:375

왜 학교는 불행한가를 읽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학교를 다니면서 지식적인 배움을 얻고, 학급 친구들과 어울림을 통해 사회에서 적응하는 방법을 배워왔을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경험해 온 학교, 그리고 부모로써 자녀들을 보내는 곳이 바로 학교이다. 그런데 이 학교에 대한 의견이 예전부터, 현재에도, 미래에도 계속 반복적으로 분분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그 의견들은 대부분 비판, 비난하는 의견들이다.

왜 학교라는 공적이고 의무적인, 보편적인 곳이 지속적인 비난을 받아오고 있는가? 학교를 다니고 있는 현 학생들에게 학교를 다니면 행복합니까?’라고 물어본다면, 과연 행복하다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학생들이 과연 몇이나 될까? 사실상 나 또한 학생시절 학교를 다니면서 좋았던 것은 친구들과 어울리며 함께 생활하는 것이지, 학교 시스템 자체에 만족한 것은 그다지 많지 않았었다. 오히려 스트레스를 받는 곳, 집으로 빨리 돌아가고 싶은 곳, 의무적으로 학교의 규칙에 따라야 하는 감옥과 같은 곳이라 말하는 것이 더 내 마음에 와 닿는다

그런데 행복 학교의 대표로 꼽히는 거창고등학교가 있다는 것이 나에게 낯설고 신선하게 다가왔다. 또한 그 행복 학교의 교장이었던 전성은 씨가 저술한 왜 학교는 불행한가라는 책의 제목을 보며 아이러니함을 느낄 수 있었다.

이 책에서는 학교란 무엇인지, 학교교육의 목적, 평화를 위한 학교 교육 제도, 교사의 길과 학생의 길이라는 큰 제목을 가지고 내용을 이어나가고 있다.

학교란 무엇인가? 이 질문은 철학 수업의 첫 시간부터 나온 질문이었다. 그리고 내가 수업시간에 배웠던 학교란 우리가 욕망하지 않는 것을 가르치는 곳, 가장 직접적인 욕망들과의 단절을 요구하는 곳, 지식 이전의 규율을 가르치는 곳, 인정받는 법을 배우는 곳이라 배웠다. 하지만 현 실태는 학벌사회로 교육의 상품화라는 비극을 낳고 있다는 것.

그렇다면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이란 것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배웠다.

인간은 오직 교육을 통해 단순한 생명체에서 인간으로서의 자질을 갖춘다.’

, 동물과 인간의 구분선이 바로 교육이며 이는 인간의 자유와 주체성의 능력을 개발시킨다는 것이다.

때문에 우리 사회, 국가는 학교를 통해 이 교육을 실현시키려 했고, 그것이 결국 고위 관로 양성 교육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학교를 설립하게 된 것이라 저술하였다. 철저히 국가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학교. 국민, 학생들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닌 국가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학교이기에 행복과 거리가 멀어지고 효율성, 인재 양성 쪽으로 학교의 방향이 흘러가는 것이다. 이는 불가피한 것이긴 하다. 우리 국가의 발전을 위해 인재 양성은 피할 수 없는 것이고, 또한 인재 양성을 위해선, 국가의 운영을 효율적으로 도모하기 위해 효율성 또한 빼먹을 수 없는 요소이다. 하지만 이 학교라는 것으로, 인재 양성을 위한 것만으로 학생들의 행복과 삶의 낙을 앗아가는 것이 옳다고 볼 수만은 없다.

 

나도 목적이지 수단이 아니다.

너도 목적이지 수단이 아니다.

나의 생명과 몸과 재산도, 이웃의 생명과 몸과 재산도

목적이지 수단이 아니다.

 

이 말이 너무나 와 닿는다. 우리 사회는, 학교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학생들을 수단으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학생들을 인재로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교는 학생들 간의 경쟁심만을 키어 학교교육 문화를 이뤄나가고 있다. 당근과 채찍 즉, 상벌을 주는 통치 방식으로 말이다. Win-Win의 결과물이 나올 수 없는 그런 방식을 통해 많은 학생들이 학업 실패로 인한 절망을 경험하고 그것이 나의 미래를 결정한다 생각하고 그 절망 속에서 빠져나오지 못해 자살을 선택한 학생들이 수없이 많다.

또한 말로만 이뤄지는 도덕 교육으로 성적은 우수하나 인성이 나빠 타 학생들을 괴롭히는 일진 모범생이 화재가 되고 있다. 일진 모범생들로 괴롭힘, 따돌림을 당해 고통을 호소하는 학생들이 많지만 성적이 우수하고 선생님들 앞에선 바른 행동을 하기에 선생님들이 이 학생들을 훈계하기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것이 올바른 학교인가?

 

이러한 학교의 문화를 변화시키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를 개선하기 위해선 오로지 학교만의 변화로 성공할 수 없다. 이 학교의 문화를 만든 것이 학교가 속하고 있는 사회이기 때문이다. 즉 정부(행정)와 학교, 국민이 개선되어야 한다.

우선 사회와 학교는 한 사람의 존엄성을 지켜주고, 학교를 아이들의 재능과 소질을 최대화시켜줄 수 있도록 국가 차원에서 제도를 개선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는 학생들을 통제, 규제하지 말고 자율적인 참여를 할 수 있도록 보장해주어야 하며,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무언가를 한다면 그것을 올바른 잣대로 판단해 적극 수용하고 지원해줘야 한다.

 

위에서 서술한 방향대로 흘러가기 위해 가장 힘써야 할 것은 사람 즉, 선생님과 학생이다. 선생님과 학생의 만남이 제한된 규율 속에서 만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의 참된 이익을 위해, 진정 학생의 재능과 소질을 존중하고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마음을 열어 소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학생 또한 선생님이 무언가를 해주기를 바라고 기다리기만 할 것이 아니라 자신이 스스로 자신의 소질을 발견할 수 있도록 자율적으로 발굴해야 하며, 자신을 가르치는 선생님을 진실로 존경하고 자신이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데 도움을 구해야 한다.

, 모든 사회, 정부, 학교, 사람이 하나가 되어 개선하도록 노력해야 행복한 학교를 만들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 작성시 파일첨부하지 마세요 웹마스터 2014.04.14 1510
공지 독서하기 소개 관리자 2013.10.07 2320
268 '서른살엔 미처 몰랐던 것들' [1] 범지현 2013.12.06 10231
267 창가의 토토 한소이 2014.04.29 5534
266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공을 읽고 [1] 박가영 2014.05.02 3206
265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를 읽고 임선경 2013.12.05 2817
264 신경숙 작가의 '엄마를 부탁해'를 읽고 [1] 김지현 2014.04.10 2759
263 연금술사 - 파울로 코엘료 우헤원 2013.11.22 2503
262 어른이 되서 읽는 어린왕자 최미연 2013.11.27 2371
261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을 읽고.. 송다은 2013.12.04 2209
260 엄마를 부탁해를 읽고 이가선 2013.11.21 2166
259 '연을 쫓는 아이'를 읽고 이홍주 2013.12.05 2145
258 '우아한 거짓말'을 읽고 [1] 김지현 2014.06.13 2020
257 <여덟단어> 박웅현 조우리 2013.12.02 1911
256 '꿈꾸는 다락방'을 읽고 [1] 홍진경 2014.05.01 1747
255 그러니까 당신도 살아 박희원 2013.12.05 1734
254 바보빅터를 읽고 [1] 강소영 2014.04.13 1709
253 관계의 힘 고봉진 2013.11.30 1649
252 노인과 바다를 읽고 [1] 국예지 2014.04.30 1618
251 시간을 파는 상점을 읽고 [1] 하은경 2014.04.13 1602
250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를 읽고 [1] 박수지 2014.04.30 1579
249 랜디 포시의 '마지막 강의' 박민정 2013.11.29 1494
248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1] 최누리 2014.09.29 1488
247 '냉정과 열정사이 ROSSO & BLUE'를 읽고 일지매 2013.12.05 1473
246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 을 읽고 [1] 홍진경 2014.04.14 1459
245 그리움은 그리움으로 -피천득의 [인연]을 읽고 [1] 장동엽 2014.04.11 1401
244 "아프니까 청춘이다"를 읽고 [1] 장여옥 2014.05.15 1398
243 '마시멜로 이야기'를 읽고 [1] 신혜진 2014.05.11 1361
242 정주영 회장 자서전 ‘이 땅에 태어나서’를 읽고... 이유정 2013.11.29 1335
241 엄마를 부탁해 강재민 2013.12.07 1335
240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를 읽고 file 김진선 2013.12.02 1311
239 리버보이를 읽고 [1] 한빈 2014.04.12 1310
238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1 <남도답사 일번지> 정현진 2013.11.22 1297
237 꾸뻬씨의 행복여행을 읽고 [1] 임현아 2014.11.11 1289
236 ㅡ창의융합 콘서트 정형민 2013.12.01 1278
235 - '눈먼자들의 도시' 를 읽고 - [2] 김규림 2014.04.27 1266
234 관계 속에서의 사랑 (에리히 프롬의 '사랑의 기술'을 읽고) 박선주 2013.11.27 1262
233 아낌없이주는나무 og 2014.04.30 1251
232 아빠,나를죽이지마세요 [2] 양지연 2014.04.30 1228
231 시련은 있어도 실패는 없다 - 확고한 신념과 불굴의 노력의 성장 file 강가연 2013.11.29 1212
230 내가 알고 있는걸 당신도 알게 된다면을 읽고 file 김은비 2013.12.06 1209
229 '청진기가 사라진다'를 읽고 일지매 2013.12.05 1207
228 30년만의 휴식 임선경 2013.12.02 1189
227 나는 죽을 때까지 재밌게 살고 싶다 소남희 2013.12.04 1189
226 1cm+를 읽고 file 드림투게더 2013.12.03 1122
225 커피우유와 소보로빵을 읽고 [2] 배지원 2014.04.11 1108
224 다시 한번 펼쳐보게 된 '아홉살 인생' 최진희 2013.11.26 1098
223 '버킷리스트'를 읽고.. [1] 지혜.백 2014.05.07 1087
222 공중그네를 읽고 [1] 정현웅 2014.05.16 1087
221 천번을 흔들려야 어른이 된다 [1] 이유진 2014.05.01 1079
220 [여자라면 힐러리처럼] 독후감 file 오수진 2013.12.05 1065
219 양자의학, 새로운 의학의 탄생 - 강길전 윤성옥 2013.11.30 1058
218 시골의사의 아름다운 동행을 읽고 [2] 신해미 2014.04.28 1058
217 '창가의 토토'를 읽고 [1] 이하정 2014.04.30 1055
216 간송 전형필을 읽고.. 박기수 2013.12.07 1052
215 거짓말 하는 착한사람들 박희원 2013.12.02 1042
214 '생각의 지도'를 읽고 주유정 2013.12.04 1040
213 꾸뻬씨의 행복여행 임용제 2013.11.20 1031
212 가시고백-김려령 문호석 2013.11.25 1011
211 스무살에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을 읽고 [1] file 서명호 2014.04.10 1003
210 더나은 자본주의-"그들이 말하지 않은 23가지"를 읽고 [1] 양운호 2014.04.13 988
209 남녀관계를 통해 다름을 배우다. 송동휘 2013.12.06 974
208 30년만의 휴식을 읽고 file 김솔 2013.11.20 951
207 이병률의 '바람이 분다, 당신이 좋다' 를 읽고 서경진 2013.11.25 950
206 '블랙차이나'를 읽고 일지매 2013.12.05 948
205 사람은 무엇으로 성장하는가? file 한송희 2013.12.02 944
204 내심장을 쏴라를 읽고 [1] 임선경 2014.04.30 940
203 제니가 읽은 '이슬람' 이라는 책 이야기 제니민지 2013.12.05 933
202 '양파의 왕따일기'를 읽고 [1] 최가희 2014.04.30 932
201 빅픽쳐를 읽고 [1] 이나콩 2014.04.28 904
200 즐거운 나의집(공지영)을 읽고 [1] 한아름 2014.04.30 903
199 스무살의 폴더 file 송채헌 2013.12.06 893
198 '철학콘서트'를 읽고 [2] 주유정 2014.04.09 892
197 독서천재가된홍대리를 읽고 김승주 2014.04.30 892
196 너는 눈부시지만 나는 눈물 겹다를 읽고 file 김은비 2013.12.06 891
195 시련은 있어도 실패는 없다- 정주영 윤성옥 2013.11.30 887
194 막스 뮐러의 '독일인의 사랑'을 느끼고.. [2] 최진희 2014.04.09 887
193 지선아 사랑해를 읽고 [1] 최현지 2014.04.12 887
192 괴짜 심리학 문호석 2013.12.02 884
191 창문을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을 읽고 김서지 2014.09.29 881
190 레이먼드 조의 "관계의 힘" 을 읽고 [1] 감사합니다 2014.05.16 879
189 마시멜로이야기2-호아킴 데 포사다 황재흠 2013.11.25 869
188 찰스램과 찰스디킨스. 누구와 같은 삶을 살 것인가?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안주영 2013.11.26 864
187 잊고있던 소중함을 깨우치는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 ' [1] 오주연 2014.04.15 856
186 '도가니'를 읽고 [1] 이하정 2014.04.15 850
185 아프니까 청춘을 읽고 [1] 이유진 2014.04.28 849
184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책을 읽고 싼채스 2013.12.06 846
183 탈무드 서태지 2013.11.30 839
182 김형경작가의 '좋은이별'을 읽고 file 일지매 2013.11.24 837
181 여자친구에게 왜 자꾸 화를 낼까? - [천개의 공감]을 읽고 [1] 장동엽 2014.04.11 833
180 '무엇을 위해 살것인가'를 읽고 일지매 2013.12.05 832
179 <눈치 보는 나 착각하는 너> 박진영 조우리 2013.12.02 819
178 어른으로산다는것 독서남 2013.11.26 817
177 '말더듬이선생님'을 읽고 [1] 김혜민 2014.04.10 810
176 '쥐를 잡자' 라는 책을 읽은 예비 청소년상담사 file 박유진 2013.11.23 807
175 <제인오스틴의 연애론>을 읽고 .. [1] 전지은 2014.11.05 805
174 희망가게-신소영 문호석 2013.11.19 800
173 살면서 포기해야 할 것은 없다. 조예은 2013.11.19 786
172 알렉스 파타코스 "의미있게 산다는 것" 中 호구경보 2013.12.08 765
171 번데기 프로젝트 조예은 2013.11.25 749

(520-714) 전남 나주시 건재로 185번지 동신대학교 Tel. 061-330-3015~8 Fax 061-330-3019

Copyright (c)2013 동신대학교 홍보협력팀. ALL Rights Reserved. All Right Reserved.

dsu